팬데믹 이후에는 기업들의 로봇 의존도가 급속도로 커졌는데요.
치솟는 인건비와 코로나19에 따른 근로 환경 변화 등으로
로봇에 대한 수요가 높아진 데다 기술 고도화로
로봇이 더 다양하고 복잡한 업무를 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에요.
반복 업무가 많은 제조 공장에서 쓰이는
산업용 로봇뿐 아니라 물류, 서비스 등 도입 분야도 폭넓어졌죠.
🌐 특히 주목할 만한 ‘물류 분야’
로봇은 물류 산업과도 밀접한 연관이 있는데요.
물류라고 하면 물품을 분류하고 하역하는 일 등 여러 작업이 있죠.
그 중에서도 물품 운반에 로봇의 성장이 심화될 것으로 보여요.
로봇을 사용하면 많은 인력이 필요하지 않아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고,
물품을 빠르게 처리해 효율성도 증가하기 때문이죠.
🌐 자율주행 기술을 기반으로 쑥쑥 성장할 예정
특히 자율주행 기능이 추가된 로봇은 카메라 센서가 부착되어 있어
앞에 있는 사람이나 장애물을 인식하고 피할 수 있기 때문에
사람과 같은 공간에서 일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데요.
산업 현장에서 지게차와 같이 적재된 물품을 작업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아마존의 ‘키바(Kiva)’,
물류창고에서 사람의 동선을 따라 다니며
지시한 물건을 옮겨 주는 DHL의 ‘에피봇(EFFiBot)’ 등의
물류 로봇들을 예로 들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