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현실적 낙관주의 유형
이 유형의 사람들은 과거의 성공 경험을 떠올리며 일의 규모를 속단할 수 있어요.
일이 주는 인상과 느낌에 의존하며 일의 규모를 과소평가 하지 말고,
현실적인 증거(관련 서류 등)를 바로 검토하세요.
일할 때 걸리는 시간을 예상해 보고, 실제로 걸린 시간을 비교해 보는 것도 도움이 돼요.
🔎 완벽주의 유형
일을 잘 할 수 있는 완벽한 순간을 기다리지만, 완벽한 타이밍은 없어요.
15분 안에 끝낼 수 있는 스몰 액션을 먼저 취해보세요.
이로 인해 동기를 얻고 내가 목표한 행동까지 갈 수 있게 될 거에요.
당신의 시간과 에너지는 한정적이라는 것!
일의 우선순위를 정하고 가용한 자원을 현실적으로 분배하는 것이 중요해요.
🔎 자기 비난 유형
미루고 있는 내 모습은 스스로 용납하기 어려운 모습이지만, 이런 죄책감이 드는 순간
자기 비난이 발동하고 무기력도 깊어져서 일을 더 미루게 되죠.
스스로 채찍질하는 비난의 목소리 뒤에는
사실 내가 더 나은 존재가 되길 바라는 마음이 가려져 있어요.
내가 진정 원하는 모습은 어떤 모습인가요? 자기 비난으로 자신의 잠재력을 희생시키지 말고,
내가 원하는 모습이 달성됐을 때 찾아올 편안함과 만족감을 생각하며 한 걸음 나아가 보세요.
🔎 현실 저항 유형
저항감이 큰 사람에게는 자율성 욕구 충족이 가장 중요해요.
하지만 현실에서 자율성 욕구를 100% 충족하는 경우를 찾긴 어렵죠.
하기 싫다는 부정적인 감정에 가려져 있는 자신이 원하는 방향과 목표를 살펴봐야 해요.
무얼 원하는지 알아야 꾸물거림이 목표 달성에 도움이 되는지 손익 계산을 할 수 있어요.
어떤 것이 진짜 나에게 이로운 선택인지, 꾸물거림으로 되려 손해를 보는 건 아닌지 따져보세요.
🔎 자극 추구 유형
처음에는 재미있어서 시작한 일도, 결국 재미가 없어져 그만두는 경우가 있을 거에요.
하지만 재미가 없다고 자신의 길이 아니라고 단정할 수는 없어요.
게임에서도 레벨 업을 하기 위해서는 동일한 작업을 반복해야 하는 기간이 있죠.
그 일 안에서 추구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재미를 발견해 보세요. 그것이 행동 유지를 도울 거에요.
짜릿함은 없어도 성취의 기쁨이 있을 수 있고, 성장하는 자신을 발견하는 뿌듯함을 느낄 수 있어요.
|